학(鶴)의 오딧세이(Odyssey)

경주7 - 서악 일대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서남산을 다녀온 뒤에 우리 명절 설날이 다가와서 잠시 경주 순례를 멈추었다가, 설날이 지나고 다시 경주로 향했다. 경주라는 곳은 보면 볼수록 무궁무진하게 즐길 곳이 많다. 몇 년을 다녀도 경주를 다 볼 수는 없기에 내가 보고 싶은 곳을 중심으로 경주를 다녀보기로 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서악 일대를 중심으로 돌아보기로 하고 집을 나섰다. 시외버스터미널에 가니 내가 도착해서 가장 가까운 버스는 만차가 되어 다음 차를 타고 경주로 갔다. 처음부터  계획하는 것과 시간의 차이가 생겼다. 하지만 바쁠 것이 없기에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돌아볼 생각이었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 옆에 있는 읍성 안내판

 

 경주시외버스정류장에서 내려 먼저 김유신장군묘를 찾아가기로 하고 형산강을 가로지르는 서천교를 건너 길을 걸어갔다. 제법 거리가 멀었지만 교통 정보를 보니 버스를 타고 가는 시간이나 걸어가는 시간이나 비슷하기에 나의 특기를 살려서 걸기로 하엿다. 그런데 이날 따라 기온이 급강하하였고 바람도 세차게 불어 걷기는 상당히 어려웠으나 걷기에는 어느 정도 익숙하기에 무리가 되지는 않앗다.

 

서천교

 

서천교에서 보는 형산강

 

김유신장군(흥무대왕)묘 입구

 

 김유신장군묘 입구에서 묘까지는 상당한 거리를 걸어야 한다. 호젓하게 오솔길을 걸어가니 장군의 묘역이 나온다. 장군의 묘역은 신라의 여러 왕보다도 더 크고 더 장식이 잘 되어 있어 장군의 위용을 알 수가 있다.

 

 김유신묘(金庾信墓)는 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옥녀봉 동쪽 능선 한가운데에 위치한 고분으로, 신라의 장군이자 재상이었던 김유신의 무덤으로 전하고 있다. 1963년 사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신라에 투항한 금관가야 왕족의 후손인 김유신은 김춘추(후의 태종무열왕)와 혈연 관계를 맺어 정치적 발판을 마련하고,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대로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당대 신라의 중요한 공신이 되었다. 그가 죽었을 때 문무왕이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르고 그의 공덕을 기리는 비를 세웠으며, 흥덕왕(興德王)은 그를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받들었다.

 

 무덤은 신라의 역대 왕릉 가운데 가장 넓은 부지를 차지하고 있다. 직경 15.8m에 높이는 5.6m이고, 묘제는 횡혈식 석실분에 해당한다. 봉분 자락에는 면석과 탱석(각각 24개씩)을 사용한 호석 구조를 하고 회랑에는 박석을 깔았다. 탱석에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이 부조되어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조영된 전형적인 신라 왕릉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남쪽에는 조선 숙종 36년에 당시의 경주부윤이었던 남지훈이 세운 '신라태대각간김유신묘(新羅太大角干金庾信墓)'라고 새긴 묘표가 있다.

 

  흥덕왕 때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높여 부르면서 둘레돌과 십이지신상을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통설과는 달리 이 무덤이 실제 김유신의 무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주장은 사학자 이병도가 최초로 ()김유신묘고()(1968)를 발표하여, 세간에 김유신의 묘라고 알려진 바와는 달리 이 무덤은 사실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무덤이며, 태종무열왕릉 옆의 전()김인문묘(속칭 각간묘角干墓)가 진정한 김유신의 무덤이라고 주장하였지만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김유신묘라고 인정한다.

 

묘지 입구의 안내 표시

 

묘지 입구의 신도비각

 

묘지 입구

 

묘지 올라 가는 길

 

김유신장군묘

 

흥무왕릉비

 

태대각간김유신묘비

 

십이지신상 중 말과 쥐

 

 

 옛날의 기록에는 이 묘역을 관리하는 금산재가 있었다고 하였는데 사라져서 새로 금산재를 지어 이 묘역을 관리한다고 하였으나 금산재는 문을 굳게 닫아 놓아 안으로 들어가 볼 수가 없었다.

 

금산재의 여러 모습

 

 김유신장군묘역을 벗어나 형산강을 따라 걸어 금장대를 찾아갔다. 영하의 날씨에 강바람이 세차게 불어 얼굴을 때려 걷기가 편하지 않았으나 버스도 다니지 않기에 무작정 걸으며 겨울 형산강의 풍경을 즐겼다. 강의 둔치에는 요즈음 성행하고 있는 파크 골프장이 잘 조성되어 있었다.

 

 

 형산강(兄山江)은 동해로 흐르는 강 중 가장 긴 강으로, 현재까지 발원지가 어디인지의 논란이 많으나 환경부에서 발간한 한국하천일람에서 공인한 형산강의 최장 발원지는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이다. 평야는 형산강평야(兄山江平野)라고 부르며, 현재는 동해선과 국도 제7호선이 강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신라 시대에는 수도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하천 중의 하나였다. 강 주변에는 신라 때의 고분군이나 유적들이 많아, 경주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형산이라는 이름은 경주시와 포항시의 접경에서 제산(弟山)과 마주하고 있는 형산(兄山)에서 유래됐다. 옛날 포항과 경주 사이에 형제산이 있었다. 형제산은 형산과 제산으로 갈라지고, 그 사이로 강이 흐르게 되었는데, 그 강을 형산강이라고 하였다는 민간에 전하는 설이 있다.

 

장군교의 모습

 

형산강의 여러 모습

 

금장대 가는 길의 김동리의 '무녀도' 소개 글

 

 경주에는 세 가지 진귀한 보물과 여덟 가지 기이한 현상을 뜻하는 삼기팔괴에 대한 이야기가 전한다. 이 중 금장대는 금장낙안(金丈落雁)이라고 하여 경주의 서천과 북천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 금장대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풍경 때문에 기러기도 쉬어간다는 이야기로 알려졌다.그만큼 금장대는 빼어난 경치와 조망을 자랑한다.

2010년 이 이야기의 위치로 유력한 곳을 발굴 조사한 결과 건물터와 다량의 기와, 공양석상, 철판 등의 유물이 나왔고 이후 2012년 복원을 완료하여 대중에 공개하였다. 발굴된 유물로는 언제 지어졌는지를 정확히 가늠할 수 없지만 대략 8~9세기 경에 지어진 건물로 예상하고 있다.

 

금장대는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의 무대가 된곳으로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무녀도' 입간판이 서 있다.

 

금장대와 금장대에서 보는 풍경

 

 금장대 바로 밑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지만 고고학적으로는 중요한 '석장동 암각화'가 있다. 지금은 거의 다 마모되어 쉽게 식별하기는 어렵지만, 전문가ㄷ들의 연구에 의하면 경주석장동암각화(慶州錫杖洞岩刻畵)는 초기철기시대에 속하는 바위그림 유적으로 금장대(金丈臺) 수직 암면 8부 능선쯤에 서천을 향하여 만들어져 있다. 이 바위그림은 1994년 동국대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학술조사팀이 발견하였다. 이곳에서는 가로, 세로가 9.0×1.7m 크기의 남변 긴 바위면에 검파형(劍把形) 바위그림 8점을 비롯하여 돌검(石劍), 돌화살촉(石鏃), 돌창(石槍)의 요소를 갖춘 그림 11, 사람 발자국 4, 여자 성기 3, () 1, 그 외 동물상과 동물 발자국, 기타 해석이 곤란한 기하학문 바위그림이 있다. 이와 비슷한 유적으로는 영일 칠포리 유적이 있으며, 사람 발자국 그림은 안동 수곡리(水谷里) 한들 마을의 신선바위에도 1점 있다.

 

 이 암각화가 더 이상 마모되지 않게 보존을 하였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경주 삭장동 암각화

 

금장대 습지공원

 

 금장대를 나와 무열왕릉을 찾아가는 길은 너무 멀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활 수도 없기에 지도를 보니 약 한 시간을 걸으면 갈 수잇는 거리라 걸어가기로 하였다. 우리나라를 전부 걸어다니고 있는 나이기에 걷는 것은 크게 무리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약 한 시간을 걸어 서악지구에 도착하니 멀리 산등성이에 고분들이 보인다.

 

멀리 보이는 고분군

 

서악지구 안내판

 

 서악지구에 도착하여 길을 따라 먼저 서악서원으로 갔다. 서악서원(西岳書院)은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 명종(明宗) 16(1561) 당시의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정(李楨)이 김유신(金庾信)을 기리기 위해 선도산 아래에 처음 세웠다. 이정은 이퇴계의 의견을 따라 선도산 아래에 서악정사를 세워 김유신의 제사 및 교육을 위한 장소로 삼게 되었다. 이것이 서악정사(西岳精舍)이다. 이후 경주 유생들에 의해 홍유후 설총(薛聰)과 문창후 최치원(崔致遠)의 위패(位牌)도 합사하자는 건의가 들어오자, 이정은 다시 이퇴계와 의논하여 두 사람도 함께 모시게 되었고, 이퇴계가 '서악정사'라는 친필 현판을 써주었다고 한다.

인조 1(1623) 경주의 유학자였던 진사(進士) 최동언(崔東彥) 등이 부윤 여우길(呂祐吉)을 통해 조정에 사액(賜額)을 청하였고, 조정에서는 서악서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폐쇄되지 않고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로 경주에서 옥산서원(玉山書院)과 함께 단 두 곳만이 존속했을 만큼 유서 깊은 서원이다.

 

서악서원의 여러 모습

 

서악서원 앞의 선도산 유적안내도

 

 서악서원을 나와 무열왕릉으로 갔다. 경주시 서악동 구릉의 동사면에 종렬한 5기의 대형 원분 가운데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무열왕릉(武烈王陵)19631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신라 최초의 진골 출신인 무열왕릉의 외형은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밑지름 36.3 m, 높이 8.7m이다. 밑둘레를 따라 비교적 큰 자연석을 사용하여 무덤의 보호석으로 드문드문 놓았으며, 능 앞에는 혼유석(魂遊石)이 있다. 경내의 비각에는 국보 제25호로 지정된 태종무열왕릉비의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있는데, 이수에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 새겨져 있어 흥덕왕릉과 함께 신라 왕릉 가운데 매장된 왕이 명확한 유이한 능이다. 발굴조사는 하지 않았으나, 형태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추정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무덤에 비해 봉분장식이 소박한 편이다.

 

무열왕릉 입구에 있는 무열왕과 문명왕후의 이야기 판

 

무열왕릉 입구

 

 무열왕릉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바로 보이는 전각이 태종무열왕릉비(太宗武烈王陵碑)가 있는 전각이다. 무열왕릉에 있는 신라 중기(7세기)에 건립된 신라 태종무열왕의 능비(陵碑)196212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5호로 지정되었다.

 귀부(龜趺)의 길이 약 3.33미터, 2.54미터, 이수(螭首)의 높이 약 1.1미터이다. 비신(碑身)은 현재 없고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는데 화강석으로 되었으며, 귀부는 장방형의 기석(基石) 위에 얹혀 있다. 이수는 6()이 서로 능을 향해 구부리고 있는 모습으로 윤곽을 이루는데, 웅장한 구 자세는 당시 석조 예술의 뛰어난 솜씨를 잘 보여준다.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의하면 이 비는 무열왕이 승하한 661년에 건립되었으며, 이수 중앙에는 김인문(金仁問)의 글씨로 전하는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는 글이 전서(篆書)로 양각되어 있으나 정확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태종무열왕릉비

 

태종무열왕릉

 

 무열왕른 바로 뒤에 서악동 고분군이 있다. 서악동 고분군(西岳洞 古墳群)은 경주시 서악동 무열왕릉 바로 뒷편의 구릉에 분포하는 4개의 대형 무덤을 가리키며, 1964829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고분들은 경주분지의 대형 고분과 비슷한 형태로 둥글게 흙을 쌓아 올린 원형봉토 고분이다. 아직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구조를 알 수는 없으나, 봉분이 거대한 점, 자연돌을 이용해 둘레돌을 두른 점 및 무열왕릉보다 높은 곳에 있는 점, 고분들이 일렬을 이루며 능선의 상위에서 하위로 조영되었을 가능성과 일렬을 이룬다는 것은 직계의 가계를 의미하고 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학계 일부에서 왕릉으로 추측하나 아직 증거는 불충분한 상태라 하겠다.

 무덤의 주인에 대해 첫 번째 무덤은 경주 법흥왕릉, 두 번째 무덤은 경주 진흥왕릉, 세 번째 무덤은 경주 진지왕릉, 네 번째 무덤은 문흥대왕릉 등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 이 고분들의 북서에 있는 선도산성 안 곳곳에서도 고분들이 조사되었고, 동편의 왕릉들을 감싸고 길게 뻗는 능선들과 남편의 대구-경주간 국도가 통과하는 소태고개의 좌우 능선들에도 많은 고분들이 분포하고 있다.

 

서악동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에서 내려보는 무열왕릉

 

 무열왕릉의 앞 길을 건너면 무열왕의 직계 자손인 김인문(金仁問)의 묘와 김양(金陽)의 묘가 자리잡고 있다,

 

 김인문의 묘 앞에는 서악동 귀부라고 일컫는 비석이 있다. ()김인문묘 옆에 위치한 귀부는 193112월 경주 서악서원(西嶽書院) 누문 근처 땅속에서 발견되었다. 발견될 당시 비석은 두 조각으로 쪼개진 채 상당히 풍화되어 있었다. 현재의 두께는 18 cm, 1m, 높이는 75 cm 정도이며 원래 서있었을 당시의 크기는 대략 폭 4자 이상, 높이는 6자 정도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비석의 보존상태는 완벽하지 않아 겨우 원형의 3분의 1 정도 남은 비면이지만 400자 이상의 글자가 있다. 글자 중엔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글자를 쪼아서 훼손시킨 흔적도 있다.

 묘비의 절반 이상은 결손되고 마멸이 심해 글자를 알아보기 힘들다. 다만, 비면에 남아 있는 글귀로 미루어보아 김인문묘비로 추정된다.

 

서악동 귀부

 

 귀부를 지나면 김인문의 묘가 나타난다. 김인문묘(金仁問墓)는 신라 문무대왕의 친동생 김인문의 묘는 198284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책을 많이 읽었고 특히 글씨를 잘써 태종 무열왕의 비문을 썼고 활쏘기와 말타기에도 능하였다. 또한 넓은 식견과 훌륭한 재주와 솜씨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외교술에 능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킬 때 당나라에게 신라 측 협조사항을 받아내는데 큰 공을 세워 신라의 삼국통일에 큰 역할을 하였다. 당나라에서 관직을 지내다가 효소왕 3(694)에 죽었다. 당 고종은 그의 시신을 호송하여 신라로 보냈으며 효소왕은 그에게 태대각간(太大角干)의 벼슬을 내렸고 서악에서 장례를 치르게 했다. 특별한 시설이 없이 높이 6.5m의 흙으로 높이 쌓아 올린 원형봉토분이다.

 

김인문의 묘

 

 김인문의 묘 바로 뒤에 다소 작은 묘는 김양의 묘다. 김양은 신라 45대 신무왕 때의 공신이며 무열왕의 9대손으로 알려져 있다. 봉분은 별다른 특징이 없는 흙무덤이다.

 

김인문과 김양의 묘

 

멀리 보이는 고분들

 

 이곳을 벗어나 효현동 삼층석탑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을 찾아가려고 했으나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다. 무열왕릉 입구에 표시가 한번 있고 주변을 돌아다녀도 다른 이정표가 없어 찾을 수가 없었다. 시간도 많이 지났기에 이것도 내가 볼 정도를 벗어난 것으로 생각하고 다음을 기약하고 그냥 집으로 향한다.

 

 오늘의 탐방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는 금장대다. 경주를 찾는 사람은 꼭 이 금장대를 보기를 바란다.

경주6 - 남산지역, 서남산 일대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동남산을 갔다와서 친구도 만나고 사람이 살아가는 일상의 일을 처리하느라 사나흘이 지나 다시 남산으로 향했다. 오늘은 서남산 일대를 순례하듯이 느긋하게 걸어 볼 생각이었다. 불국토를 구현한 신라의 자취를 종교적인 느낌으로 경건하게 돌아볼 마음으로 집을 출발하여 경주로 가서 다시 문천 옆에 있는 윤경렬 기념관에 갔다. 저번에 보지 못했던 기념관 내부를 간단히 구경하고 나와서 문천교를 지나 저번에 갔던 동남산의 반대 방향인 서남산 삼릉가는 길로 걸음을 옮겼다.

 

윤경렬기념관 내부

 

 기념관을 구경하고 나와 문천교쪽으로 걸음을 옮기니 윤경렬 고택에서 차를 한잔하고 가라고 부른다. 그러나 사양을 하고 내가 갈 길로 걸음을 옮겼는데 지금 생각하니 차 한잔을 마시고 천천히 가도 좋았으리라 생각이 든다.

 

문천교 건너 잔치국수 집

 

 길을 따라 조금 걸으니 '해맞이 마을'이라는 표석이 보인다. 최햇빛님이 세운 것으로 순수힌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려서 지은 것으로 정감이 갔다.

 

해맞이 마을 표석과 정자

 

 길을 따라가니 최치원의 고운대가 나오고 그 위에는 '상서장'이 있다. 상서장 (上書莊)은 신라 말엽의 뛰어난 문필가 최치원(崔致遠)이 머무르면서 공부하던 곳이라 전한다. 상서장이라는 이름은 이 집에서 왕에게 상서를 올렸다는 데서 유래한 듯하다. 1984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영정각 3, 상서장 5, 추모문 3, 수호실 3칸으로 구성된 3동으로 되어 있으며, 1874(고종 11)에 건립된 비가 있다. 지금은 최치원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고운대

 

상서장의 여러 모습

 

 상서장에서 '김호장군 고택'을 찾아가는 길은 큰 길을 따라가다가 터널이 나오면 터널 옆으로 난 길을 따라 계속 가면 된다. 이정표가 없어 다소 당황스럽지만 야트막한 산길만 따라가면 나오니 그냥 한가하게 걸어가면 된다.

 

올레길 표시

 

이정표

 

 경주 월암 종택(慶州 月菴 宗宅)으로도 불리는 김호장군고택은 17세기전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며 집터는 신라시대 절터였다는 설이 있는데, 주변에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여러 석조물이 있고 마당의 우물돌은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김호장군의 후손이 살고 있는 집으로 현재 14대 종부가 관리하고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34호로 지정된 고택이다. 197718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었다.

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은 '경주탑동김헌용고가옥(慶州塔洞金憲容古家屋)'이었으나, 임진왜란때 의병장으로 순국한 김호 장군(?1592)의 고택임을 감안하여 경주 김호장군 고택'으로 명칭을 변경(2007.1.29)하였다가, 2017228일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월암(月菴) 김호의 종택임을 감안하여 '경주 월암 종택'으로 문화재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

 

 

 월암종택은 문을 열어 놓아 관광객이 드나들도록 개방해 놓았기에 안으로 들어가 보니 화려하지는 않지만 무언가 기풍이 넘치는 위엄이 느껴지는 집이었다. 사람이 살고 있는 모습이 보여서 잠간만 둘러보고 나와 주변을 돌아 보았다.

 

월암 종택

 

 월암종택 조금 옆에 있는 집에 '누비장 무형문화재'라는 표지가 있다. 누비장 (縷緋匠)은 일반 바느질은 물론 누비는 기술을 겸한 특수한 장인이다. 누비는 옷감의 강도와 보온을 위해 사용된 기법으로 우리나라에서 누비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구려 고분벽화 감신총(龕神冢)의 누비갑주나 다른 기록에서 보면 이미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누비는 기법이 단순하고 쉽지만 세탁 후 바느질 모양이 틀어지지 않고 솜에 의해 시접 자국이 생기지 않아 실용적이다. 근대 이후 손누비는 대중화되지 못했고, 1910년 이후에는 재봉틀의 사용으로 기계 누비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누비장은 199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 김해자는 1996년 중요무형유산 기능보유자로 지정받아 생전에 활발히 홛동하였다.

 

누비장 김해자 표시

 

 이곳에서 일성왕릉으로 가는 길에 배씨문중의 경덕사라는 사당이 보이고 마을 뒤산으로 올라가니 일성왕릉이 나타난다.

 

 일성왕릉(逸聖王陵)19698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경주 남산 서쪽 기슭의 약간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마련하였고 그 상단에 봉분(封墳)이 있다. 상당한 규모의 대형 분묘여서 일반 서민의 무덤이 아님을 곧 알 수 있으나, 일성왕의 장지에 관한 기록이 없어 구전(口傳)에 의하여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제도상으로 보아 특이한 점은 없다.

 일성왕은 <삼국사기>에는 제3대 유리왕의 맏아들로, <삼국유사>에는 제3대 유리왕의 조카 혹은 제7대 지마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일성왕은 농토를 늘리고 제방을 수리하여 농업을 권장하였으며 민간에서 금, , 주옥의 사용금지를 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에 주력하였다.

 

경덕사

 

일성왕릉

 

여러 곳을 가리키는 이정표

 

 일성왕릉을 내려와 남간사지 당간지주로 향했다. 남간사지 당간지주(南澗寺址 幢竿支柱)는 탑동 남간사지에 있는 당간지주로 198739일 보물 제909호로 지정되었다.

 

 이 당간지주는 남간사의 옛터에서 약 500m 떨어진 논 가운데에 세워져 있다. 논을 경작하면서 지주의 아래부분이 약 50cm정도 드러나 있으며, 바닥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기단부가 없어서 기단 위에 당간을 세우던 받침돌도 찾아볼 수 없다. 지주 안쪽 면에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세 군데에 뚫어 놓았는데, 특히 꼭대기에 있는 것은 십()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다.

원래 산재되어 있는 당간지주의 대부분이 특별한 장식이 없지만 이 남간사지 당간지주는 소박하고 간단한 형태의 보존된 상태도 양호한 통일신라 중기의 작품이다.

 

남간사지 당간지주

 

 

 이곳에서 나정쪽으로 조금 내려가니 육부전이 나온다. 과거 양산재로 불렸던 육부전은 신라 건국 이전 서라벌에 있었던 6부 촌장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기원전 57년 알천양산촌, 돌산고허촌, 취산진지촌, 무산대수촌, 금산가리촌, 명활산고야촌의 6부 촌장들이 알천 언덕에 모여 알에서 탄생한 박혁거세를 신라의 첫 임금으로 추대하였다. 이후 신라 3대 왕인 유리왕이 이들의 건국 공로를 기리기 위해 양산촌은 이 씨, 고허촌은 최 씨, 진지촌은 정씨, 대수촌은 손 씨, 가리촌은 배 씨, 고야촌은 설 씨로 각각의 성을 내려 이들이 각 성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한다. 육부전 홍익문 안에는 주건물인 입덕묘가 세워져 있는데, 이 공간은 제례가 있는 날을 제외하고는 일반에 개방하지 않는다고 한다.

 

육부전 전경

 

 육부전 바로 밑에 박혁거세의 탄생설화가 서려 있는 나정이 있다.

 

 탑동에 있는 나정(蘿井)은 <삼국유사> 1 기이 제1편에서 박혁거세 탄생 설화가 있고, 삼국사기에 따르면 2대 왕 남해 차차웅 3(서기 6)에 이곳에 시조묘를 세웠고, 이후에 이 자리에 신궁을 세웠다고 한다.

 1975112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02년에 전각과 초석들을 두른 담장 일부가 허물어져 보수할 필요가 생겨 발굴조사작업을 하였다. 본디 그 이름대로 우물()이 있었다고 추정했으나, 2002년에 발굴을 시작한 후, (기존에 우물 터라고 생각한 자리가 아닌) 다른 자리가 원 우물 터라는 주장과 처음부터 우물이 없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발굴단은 다른 자리가 원 우물 터라고 판단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리고 문무왕 때 이 자리에 신궁을 새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사 결과 한 변이 8 m, 지름이 20 m 정도 되는 8각 목조건물을 세웠던 흔적인 초석 50여 개와 둥근 돌기단의 흔적이 나왔다.. 출토된 '의봉 4(679)'이란 명문이 씐 기와로 신라의 유적임도 확인하였다. 이로써 나정에 신궁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한다.

나정의 여러 모습

 

포석정 앞에 있는 경주 여행 안내판

 

 나정을 지나 제법 걸어가서 포석정으로 갔다. 경주를 자주 왔으나 포석정은 정말로 오랜만에 다시 보는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경주는 올 때마다 모습이 바뀐다. 유적지 주변은 하루가 다르게 관광객의 편의를 맞추고 있다. 포석정에 들어가려니 안내인이 사정상 동영상상영이 중단되었고 포석정에 물도 흐르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포석정만 둘러 보기로 하였다.

 

 포석정(鮑石亭)은 배동에 있는 신라의 별궁이 있던 자리로, 사적 제1호로 건물은 없어지고 석조구조물만 남아 있다. 자연환경을 최대로 활용하고 주위의 아름다운 경관에 인공적인 기술을 가미하여 이룩한 조화미는 신라 궁원기술(宮苑技術)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고 평가된다. 신라 시대에 유상곡수(流觴曲水)의 연회를 행하던 곳이다. 하지만 최근 연회를 행하던 장소보다는 의식이 행해졌던 곳이라는 설이 더 힘을 받고 있다. 학자들은 후백제의 견훤이 포석정에 군사들을 이끌고 침입한 것이 포석정이 연회를 행하던 곳으로 불리게 된 것과 다소 연관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실내의 포석정 모형

 

포석정지

 

 포석정을 돌아보고 벤치에 앉아 가지고 다니는 커피와 빵으로 간단하게 간식을 먹고 주변에 있는 지마왕릉으로 향했다.

 

신라 제6대 지마왕(재위 112~134) 릉은 포석정에서 약 200m 떨어진 남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분은 밑둘레 38m, 높이 3.4m로 크지 않은 규모로 굴식돌방무덤으로 추정되고, 무덤의 입지조건이나 봉분의 형태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때 무덤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경사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 안치하였으며, 아무 표지가 없고 능 앞에 혼유석이 있으나, 최근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지마왕릉

 

곳곳에 보이는 삼릉 가는 길 안내도

 

소나무 숲길

 

 지마왕릉에서 옆으로 나 있는 숲길을 따라 걸어가면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의 안내도가 나오고 옆에 망월사가 나온다. 망월사 안에 삼존입상이 있는 줄로 생각하고 절에 들어가 찾으니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스님에게 물으니 친절하게 있는 곳 주변까지 안내를 해 주엇다. 망월사 경내가 아니아 뒷쪽 언덕에 있었다.

 

석조여래삼존입상 안내도

 

망월사 석탑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은 남산 기슭 내남면 용장리에 있는 삼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삼존 입상이다. 경주 남산 기슭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23년 지금의 자리에 모아 세웠다.

1963121일 보물 제63호 경주배리석불입상(慶州拜里石佛立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8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석불들은 기본양식이 똑같아 처음부터 삼존불(三尊佛)로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조각솜씨가 뛰어난 다정한 얼굴과 몸 등에서 인간적인 정감이 넘치면서도 함부로 범할 수 없는 종교적 신비가 풍기고 있는 작품으로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삼존입상 옆의 삼불사 석탑

 

 

 망월사는 배동에 자리한 대한 불교 원효종 사찰이며 원효종의 중요한 사찰로 꼽힌다. 오랜 역사와 위상에 비해 소박한 사찰이며 대웅전, 요사채가 있으며 연못 안에 놓인 불탑인 연화탑이 인상적이다. 인근에는 삼불사와 배동삼존여래입상이 있다.

 지금은 폐사된 옛 신라시대 사찰 선방사지에 있는 망월사와 삼불사, 배동삼존여래입상 세곳을 선방골이라 부른다.

 

 삼존입상과 망월사를 지나 계속 숲길을 걸어가먀 삼릉이 나온다.

 

 배리삼릉(拜里三陵)은 경주 남산의 서쪽 기슭에 동서로 3개의 왕릉이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밑으로부터 신라 8대 아달라왕,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 등 박씨 3왕의 무덤이라 전하고 있으며, 무덤은 모두 원형으로 흙을 쌓아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배동 삼릉의 주인공이 신라의 박씨 3왕이라 전하고 있지만 확실한 기록은 없고 신라 초기의 아달라왕과 신덕왕, 경명왕 사이에는 무려 700여년의 차이가 있어 이들의 무덤이 한곳에 모여있다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리고 신라 초기에는 이와 같은 대형무덤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었다.

 

남산일원 설명

 

삼릉

 

 삼릉을 지나 숲길을 걸어가면 오래된 돌다리가 나오고 다리를 건너면 경애왕릉이 나온다. 왕릉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초라하다.신라가 완전히 망해 가는 시기의 왕이었기에 그런지 너무 초라하다. 경애왕릉(景哀王陵)1971428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무덤은 삼릉계곡 입구의 소나무 숲 안에 있으며, 밑 둘레 43m, 지름 12m, 높이 4.2m 규모로 흙을 둥글게 쌓은 형태의 평범한 원형토분이다. 무덤을 쌓은 석축도 없고 표식물(表飾物)은 오직 최근에 설치한  능 앞에 상석(床石)이 있을 뿐이다. 초라한 무덤을 감싸주는 송림이 주변에 울창하다.

 삼국사기에는 경애왕을 남산 해목령에 장사 지냈다고 되어있으나 해목령은 경애왕릉에서 떨어져 있어서 맞지 않으며, 해목령 가까이에 있는 지금의 일성왕릉을 경애왕릉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경애왕릉

 

도로변에 있는 삼릉 표석

 

 여기에 도착하니 어느 새 오늘의 여정을 끝내야 하는 시간이다. 그래서 길을 따라 내려가 남산관광안내소에 가서 다음에 갈 남산의 여러 자료를 얻었다. 지도와 안내책자, 남산을 소개하는 소책자 등을 얻어 요긴하게 사용할 생각이었다.

 

 삼릉골은 봄이 오면 돌아 볼 예정으로 다음을 기약하고 다른 남산의 여러 곳부터 또 걸어야겠다.

경주5 - 남산지역, 동남산 일대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제법 긴 날을 한파가 계속되다가 추위가 조금 진정되면서 겨울이라기에 너무 따뜻한 어느 날 남산을 돌아보려고 집을 떠났다. 남산은 너무 넓기에 하루에 다 돌아볼 수도 없고 모든 문화의 자취를 돌아보기에도 어려워 경주시에서 나온 안내도를 따라 먼저 동남산쪽으로 오늘의 여정을 정하였다.

 

 안내도에 의하면 경주박물관 옆에서 난 길을 따라가도록 되어 있지만 이정표가 하나도 없다. 이런 점이 상당히 아쉽게 생각되었지만 현대문명의 이기인 스마트폰으로 지도를 찾아 박물관 옆으로 난 길을 따라 갔다.

겨울 박물관 옆 벌판

 

 박물관 옆으로 난 길을 따라 제법 걸어가니 문천이 나타나고 양지마을이 나온다. 햇볕이 잘드는 마을이라 양지마을이라고 일컫는 곳에는  남산과 관련된 인물로 유명한 고청 윤경렬(古靑 尹京列1916~1999)기념괸이 있다. 선생은 남산의 수호신이 되고 싶다고 하실 정도로 남산을 사랑했다. 함경북도 주을 출신으로, 40년대 경주로 내려오시어 '마지막 신라인'으로 살며 경주 남산과 우리의 토우, 조각을 연구하고 만들었다. 그의 생가(고청정사)는 경주시 인왕동 남산 바로 앞 양지마을에 있으며, 고청 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념관을 구경하려고 가니 하필 월요일이라 문을 닫고 있어 내부는 돌아보지 못하고 외부만 보고 남산의 한 구역인 동남산으로 발길을 옮겼다.

 

 경주남산(慶州南山)은 경주시에 있는 불교 유적과 관련된 산으로 금오산이라고도 하며, 북쪽 금오산과 남쪽 고위산 사이의 산들과 계곡 전체를 통칭해서 남산이라 한다. 또한 남산은 신라 사령지(四靈地) 가운데 한 곳으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이곳에서 모임을 갖고 나랏일을 의논하면 반드시 성공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남산에 얽힌 전설과 영험의 사례가 풍부하고 다양하다. 박혁거세가 태어난 곳이 남산 기슭의 나정이며, 불교가 공인된 528(법흥왕 15) 이후 남산은 부처님이 상주하는 신령스러운 산으로 존숭되어 왔다.

남산의 지세는 크게 동남산과 서남산으로 나뉜다. 동남산과 서남산에는 각각 16개의 계곡이 있고, 남쪽의 2개와 합하여 모두 34개의 계곡이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유물과 유적의 숫자로 보면 서남산쪽이 동남산보다 월등히 많다. 수십 곳의 골짜기에는 100여 곳의 절터와 80여 구의 석불, 60여 기의 석탑 등 다양한 불교 문화재가 남아 있으며 신라의 불교 문화를 폭넓게 볼 수 있는 노천박물관으로 불리고 있다.

 김시습이 한국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를 쓴 곳이 이 산에 있던 용장사다. '금오'는 남산의 주봉우리인 금오봉을 의미한다. 참고로 금오신화라는 이름은 '금오산의 신화'라는 뜻의 金鼇神話가 아닌, '금오산의 새 이야기'라는 뜻의 金鼇新話이다.

 이곳에 있는 남산성은 남산 해목령을 중심으로 사방 4되는 성으로서 진덕여왕 때 쌓았던 것을 문무왕 때 대규모로 수축하였다. 성벽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고, 다만 지세에 맞추어 그 높낮이를 조정하였다.

 유적뿐만 아니라 남산은 자연경관도 뛰어나다. 변화무쌍한 많은 계곡이 있고 기암괴석들이 만물상을 이루며, 등산객의 발길만큼이나 수많은 등산로가 있다. 엄지손가락을 곧추 세워 남산을 일등으로 꼽는 사람들은 남산에 오르지 않고서는 경주를 보았다고 말할 수 없다.”라고 한다. , 자연의 아름다움에다 신라의 오랜 역사, 신라인의 미의식과 종교의식이 예술로서 승화된 곳이 바로 남산인 것이다.

 

문천의 겨울

 

 윤경렬 기념관을 지나 문천을 따라 내려가면 먼자 나타나는 이정표는 불곡마애여래좌상으로 이제부터 동남산의 불국토를 탐방하는 것이다. 길에서 제법 떨어진 산위로 올라가면 여래좌상이 나온다.

 

이정표

남산고분지구 표시

 

 산길을 제법 걸어 언덕을 넘어가면 고분지구가 나오고 길을 따라 내려가면 마애여래좌상이 나타난다.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佛谷 磨崖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동쪽 기슭 부처 골짜기의 한 바위에 깊이가 1m나 되는 석굴을 파고 만든 삼국시대 마애불 좌상으로, 1963121일 보물 제198호 경주남산불곡석불좌상(慶州南山佛谷石佛坐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8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석불은 높이 3m, 4m 정도 되는 바위에 높이 1.7m, 1.2m, 깊이 0.6m의 감실을 파 그 안에 새긴 것으로 불상의 높이는 1.4m 정도이다. 감실은 입구가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석굴의 느낌을 주는데 산죽이 무성한 대숲 사이 작은 바위 속에 새겨진 석불좌상은 조각양식으로 보아 고 신라의 것으로 보이며 현재 남아 있는 남산의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불상으로 인하여 계곡 이름을 부처 골짜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불곡마애여래좌상

 

 불곡마애여래좌상에서 탑곡마애불상군으로 가는 이정표를 따라 탑곡으로 갔다. 그런데 가는 길에 보이는이정표가 탑곡 혹은 탑골로 표기되어 있다. 물론 한자어 표기와 우리말 표기의 차이지만 하나로 통일하고 병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는 길에 울창한 대숲

 

 

 탑곡(塔谷)은 남산 전망대 부근에서 북동쪽으로 흐르는 계곡이다. 마애불상군이 있는 부처바위에 삼층석탑이 한 기 서 있는데, 그 탑 때문에 탑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탑골은 남산의 동쪽 면인 동남산에서 세 번째로 깊다. 남산 북쪽 기슭에 신라의 궁성인 반월성이 있고, 그 앞에 남천이 흐르고 있는데, 반월성 앞 남천을 동쪽으로 1.6킬로미터쯤 거슬러 가면 탑골의 계곡물이 남천으로 흘러드는 곳에 탑골마을이 있다. 마을에서 탑골 여울을 거슬러 150미터쯤 들어가면 옥룡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다. 이육사가 이곳에서 요양한 적이 있으며, 지금은 불무사라 이름을 고쳤으나, 여전히 옥룡암이라 부르는 이들이 많다. 이 암자의 산령각과 칠성각 사잇길로 들어가면 자그마한 대숲이 있고, 대숲을 지나면 마애불상군이 새겨진 바위가 나타난다.

 

곳곳에 보이는 유적 설명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은 경주시 남산 탑곡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여럿이다. 9미터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의 네 면에 거의 빈틈없이 마애불상군의 만다라적인 조각이 회화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불상, 보살상, 스님의 조각상, 비천상 등 23구의 조상이 있을 뿐 아니라 9층탑·7층탑과 사자상, 보리수로 보이는 나무 등을 조각하여, 천상과 지상의 정토를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두 암벽을 갈아 부조로 새긴 것이며, 남면에 입체 여래상 1구가 있다.

 1963121일 보물 제201호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慶州南山塔谷磨崖彫像群)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8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의 여러 모습

 

옥룡사

 

 여기에서 하나 의아스러운 점이 보였다.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을 가리키는 표시에 옥룡사 경내에서는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이라는 옛 명칭으로 표시가 되어 있었다. 이런 점은 제대로 고쳐서 표시를 만들어야 하는데 무언가 조금은 미흡한 것 같았다. 그래서 경주시 관광안내국에 전화로 알려 주었다.

 

옥룡사를 내려오니 미륵곡석조여래좌상으로 가는 이정표가 보여 발길을 옮겼다.

 

이정표

 

 미륵곡 석조여래좌상(彌勒谷 石造如來坐像)은경주시 배반동 미륵골에 있는 보리사(菩提寺)에 있는 석불좌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제 불상이며 19631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4m, 불상 높이 2.35m, 광배(光背) 2.7m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풍만하지 않으며, 가는 눈과 날카로운 코, 뚜렷한 입에 침잠(沈潛)한 웃음이 8세기 신라인의 정신적 고고함과 비범한 조각솜씨를 보여준다. 1,300여년 전에 조성된 8세기 신라 불상의 세련된 불격(佛格)을 사실주의 조각으로 성공시킨 당대의 역작으로 높이 평가된다.

 

미륵곡 석조 여래좌상

 

보리사에서 보는 경주 일원

 

 미륵곡 석조 여래좌상을 보고 보리사 마애불상을 보려고 하니 제법 가파른 산길로 올라가야 했다. 산을 오를 준비도 하나도 갖추지 않아 포기를 하고 보리사를 내려와 길을 따라 걸으니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소의 울창한 숲이 나오고 계속 길을 따라 가니 화랑교육원이 나온다.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소의 울창한 숲

 

 화랑교육원(花郞敎育院)1971년 착공해서 1973530일에 준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교육원으로 개원한 이래 화랑의 얼을 계승하여, 국가관을 확립해 바른 품성과 인격을 도야하기 위해 교원 연수교육과 청소년 수련교육, 재외 교포학생, 교육과 사관생도 교육 그리고 일반 대학교 학생들은 교육과 공무원 교직 등을 담당하고 있다.

 

 

 

 화랑교육원을 지나 조금 가면 헌강왕릉이나오고 조금 더 가면 정강왕릉이 나온다. 별다른 특징이 없고 다른 왕릉에 비하며 다소 작은 릉이다.

 

 헌강왕은 이름은 정()이며, 경문왕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문의왕후(文懿王后), 비는 의명부인(懿明夫人)이다. 875년에 즉위하여 886년에 승하할 때까지 12년간 재위하면서 문치와 내정에 힘썼다. 헌강왕릉은 1969827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69,626이다.

 무덤 양식은 널길을 동벽에 편향해서 설치한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墓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헌강왕이 승하한 뒤 보리사(菩提寺)의 동남쪽에 장사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보리사를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무덤을 헌강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이다.

 

헌강왕릉

 

 정강왕릉(定康王陵)19698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보호구역이 356,400m2이고, 887(진성여왕 즉위)경에 조성되었다. 정강왕은 신라 제50대 왕으로 별로 치적이 없음에도 능의 형식이 선왕인 헌강왕릉의 것과 같은 것은 태평성세를 누렸기 때문인 듯하다.

 

정강왕릉

 

 정강왕릉을 내려와 통일전으로 가는 길에 굽은 소나무가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 곳곳에 굽은 나무가 보이는 곳이 많지만 또 다른 자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굽은 소나무

 

 통일전에 도착하여 안으로 들어가려니 월요일이라 문을 열지 않았다. 그래서 안내원과 잠시 이야기를 하고 지도를 얻고 서출지로 향했다.

 통일전은 삼국통일의 정신을 계승하고, 다가올 남북통일을 기원하는 국민의 전당이다. 경내에는 태종무열왕, 문무대왕, 김유신 장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으며, 통일의 격전을 생생히 보여주는 기록화가 긴 회랑을 따라 전시되고 있다. 남산 답사 도중 잠시 호국영령을 참배하고 너른 잔디밭에서 쉬는 것도 좋을 듯하다.

 

통일전

 

 통일전 바로 옆에 서출지라는 연못이 있다. 서출지(書出池)는 남산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연못으로 신라 소지왕 때 이 못 근처에서 왕비의 비행(非行)을 알리는 봉투가 나온 곳이라 해서 서출지라 부른다. 1964년 사적 제138호 서출지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경주 서출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488년에 왕이 남산 기슭에 있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가고 있을 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쫓아 가보라하니 괴이하게 여겨 신하를 시켜 따라 가보게 하였다. 신하는 이 못에 와서 두 마리의 돼지가 싸우는 것에 정신이 팔려 까마귀가 간 곳을 잃어버리고 헤맸다. 못 가운데서 한 노인이 나타났는데 그 노인이 어떤 봉투를 건네줘서 왕에게 그것을 올렸다. 왕은 봉투 속에 있는 내용에 따라 궁에 돌아와 화살로 거문고집을 쏘게 하니, 왕실에서 향을 올리던 중과 궁주가 흉계를 꾸미고 있다가 죽음을 당했다는 것이다. 이 못에서 글이 나와 계략을 막았다 하여 이름을 서출지(書出池)라 하고, 정월 보름날은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지내는 풍속이 생겨났다. 서출지의 전설은 전통적 민속신앙 속에 새로운 불교문화가 전래되는 과정에 빚어지는 갈등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서출지 가에 있는 이요당은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조선후기의 학자 이요당(二樂堂) 임적(任勣:1612~1672)1664(현종 5)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서출지에 둘러싸여 있는 이요당 주변은 경주에서도 명승지로도 꼽힌다. 특히 한여름에 연꽃이 만발하고 배롱나무가 만화할 때 연못 풍경은 가히 환상적이라 할 수가 있다. 배롱나무들이 붉은 꽃을 피우고, 연못의 연꽃들이 피어올라 다양한 색채의 장관을 이루기도 한다고 전한다.

 

서출지와 이요당

 

서출지 옆의 무량사

 

 서출지에서 다시 길을 따라 가면  나오는.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南山洞 東西 三層石塔)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으로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동탑 높이 7.04m, 서탑 높이 5.55m로 탑의 규모와 제작된 형식이 서로 다르게 생겼으며 동쪽과 서쪽에 마주하며 배치되어 있다. 남산 사지의 쌍탑 중 동탑은 모전석탑(模塼石塔)이고 서탑은 일반형 석탑이다.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

 

 

 여기서 칠불암가는 길을 따라 제법 가면나오는 이름도 조금 이상한 ()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傳 念佛寺地 東西 三層石塔)은 남산동에 있는 삼층석탑 2기로 동탑의 높이는 583cm, 서탑의 높이는 585cm로 남산동 전 염불사지에 있으며 2022112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석탑이 위치한 장소는 8세기에 창건되어 12세기까지 운영된 사찰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이곳에 위치했던 사찰의 명칭은 '염불사', '피리사', '봉구곡사' 등 다양한 명칭이 기록으로 전하고 있으나, 사찰의 명칭을 단정할 수 있는 결정적인 자료가 부족하여 전(: 전할 전) 염불사지로 명명되었다.

 

 석탑 건립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언제 석탑이 세워졌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석탑의 건축양식을 볼 때 8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에 의하면 그때 당시에도 사찰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았고, 염불사지 대부분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석탑도 모두 붕괴된 상태였다. 이후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거쳐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동탑과 서탑의 이전 및 복원 공사를 진행하였고, 2009년 복원이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동남산 전경

 

 여기까지를 돌아보고 나니 벌써 시간이 많이 지났다. 오늘만이 날이 아니기에 다음날을 기약하고 통일전까지 걸어가서 버스를 타고 경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집으로 향했다.

 

 다음은 남산 삼릉골 주변을 돌아볼 생각이다.

 

경주4 - 낭산 일대와 분황사, 황룡사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저번에 경주를 갔다와서 겨울 추위가 매섭게 닥쳐 경주 순례를 삼사일 쉬다가 다시 경주로 향했다. 이번에는 좀처럼 잘 가지 않는 낭산 일대와 황룡사 부근을 보고 싶었다. 시외버스터미널에서 걷기를 시작하여 대릉원을 지나 잠시 방향을 잘못 들어서 쪽샘쪽으로 갔다. 경주는 올 때마다 다른 유적지가 발견되는 것 같다. 내가 제법 경주를 다녔지만 쪽생이라는 명칭을 들어본 적이 없었다. 물론 내가 과문한 탓도 있겠지만.

 

  쪽샘지구는 대릉원 동쪽에 위치한 황오리 고분군(황오동, 황남동, 인왕동) 일대를 일컫는 것으로,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집단 묘역으로 총면적은 384000m2 정도의 국내 최대 규모의 왕족과 귀족들이 집단 묘역으로 유물 발굴지다. 1960년대 이후 이곳에 민가가 들어서면서 고분 유적의 훼손이 심각해짐에 따라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고분군 발굴을 위해 이 지역 민가와 사유지 등을 사들인 뒤 2007년부터 발굴을 시작하였다. 경주시는 연면적 1,900, 2층 규모의 쪽샘지구유적발굴관을 지어 수장고와 함께 내부에 유물 발굴 공간을 직접 볼 수 있는 관람 통로 등을 설치하였고, 2층 전체는 유리로 마감되어 쪽샘지구 발굴 현장을 한눈에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주시는 쪽샘을 정비하여 이 일대를 쪽샘지구로 명명하였다.

 

쪽샘의 모습

 

 이 쪽샘 주변의 여러 고분군을 구경하고 여러 유적지를 지나 걸어갔다. 내가 걷는 것은 어느 정도 자신이 있었기에 동궁과 월지를 지나 시내를 따라 난 도로를 걸어 낭산으로 향했다.

 

 낭산은 누에고치처럼 남북으로 길게 누워 높이 108m의 낮은 구릉을 이루는 산으로 예로부터 서라벌의 진산으로 신성한 산으로 여겨졌다. 신라 실성왕 12(413)에 구름이 일어 누각같이 보이면서 오랫동안 향기가 피어올랐다. 기록에는 왕이 낭산에 상서로운 구름이 서린 것을 보고 신하들에게 신령이 하늘에서 내려와 노는 곳이니 당연 복을 주는 지역이므로 이제부터는 낭산의 나무 한 그루도 베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7세기부터는 불교의 성스러운 산으로 왕실에 복을 주는 장소로 변하기 시작하였고, 선덕여왕의 유언에 따라 만든 여왕의 능을 비롯하여 신라 향가의 현장인 사천왕사지, 문무왕의 화장터로 여겨지는 능지탑, 바위에 부처를 새긴 마애불, 구황리 삼층석탑 등 신라 유적이 많이 있다.

 

낭산 표지

 

 길을 따라가니 낭산과 선덕여왕릉 표지가 나타났다. 내가 이곳을 온 주된 목적은 선덕여왕릉을 찾아가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약 20여년 전에 초등학생이었던 아들과 함께 이곳을 지나가다가 선덕여왕릉 표시가 너무 초라헤 되어 있는 것을 보고 아들이 문화재관리국(정확하지는 않다.)에 여왕이라고 표시가 소홀한 것이 아닌가하고 의견을 제시한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선덕여왕릉으로 올라 가면서 먼저 보는 것이 '능지탑지'다.

 

 능지탑은 남산에 흐트러져 있던 탑의 재료를 새로 맞추어 놓은 것으로 예로부터 능시탑 또는 연화탑이라고도 한다. 기단 사방에 12지신상을 새긴 돌을 세우고, 그 위에 연꽃무늬가 있는 석재를 쌓아 올린 5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문무왕이 임종 후 10일 안에 왕궁 밖 뜰에서 화장하고 장례를 검소하게 하라고 유언하였으며, 탑 주변에서 문무대왕릉비 조각이 발견되고 사천왕사, 선덕여왕릉, 신문왕릉 등과 가까운 것으로 보아 이곳이 문무왕의 유언을 받들어 왕을 화장한 터로 전해진다.

 현재의 능지탑의 외관은 1979년에 보수할 때 임시로 정사각형 평면의 2층 석조 축단(築壇)으로 복원되었다. 현재 터의 향좌측에는 보수할 때 사용하고 남은 연화석 36개가 쌓여 있고, 그 옆에 성격이 구명되지 않은 토단 유구가 남아 있다.

 

능지탑지

 

경주 낭산 설명판

 

 이곳을 지나 선덕여왕릉으로 가는 길은 제법 걸어가야 한다. 선덕여왕릉은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지나 거의 산 정상까지 올라가야 한다.

 

선덕여왕릉 가는 길

 

 경주시 보문동 산79-2번지 낭산의 정상에 있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릉(善德女王陵)646년경에 조성되었고, 19698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낭산(狼山) 보호구역에 포함된다. 사천왕사(四天王寺) 위 낭산의 정상에 있는데, 현재의 상태는 봉토(封土) 밑에 둘레돌을 쌓은 원형의 토분(土墳)이다. 둘레돌은 잡석을 비스듬히 2단으로 쌓았고 그 밖으로 드문드문 둘레돌의 높이와 비슷한 대석을 기대어 놓았다. 그 외에는 다른 표식의물(表飾儀物)이 없고 다만 전면에 상석(床石)이 있으나 이것은 후세에 설치된 것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선덕여왕이 죽을 날을 예언하며 부처의 나라인 도리천에 묻어 달라고 했다고 한다. 도리천은 불교설화의 수미산 밑을 이야기하는데 어디를 말하는지 몰라 신하들이 묻자 낭산 기슭이라 대답하였고, 이 기슭에서 장사를 지냈다. 이후 문무왕이 삼국통일을 한 후 낭산에 사천왕사를 지었다. 사천왕이란 도리천의 호불신으로 선덕여왕의 무덤은 결국 도리천에 있는 셈이 되어 비로소 신하들이 낭산의 정상이 도리천이라 한 여왕의 뜻을 알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밖에 유명한 선덕여왕 지기삼사라는 설화도 전해지고 있다. 주변에 신문왕릉, 효공왕릉, 신무왕릉, 효소왕릉 등 여러 왕릉이 있다.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을 내려와서 주변의 왕릉을 보지 않고 분황사로 향했다. 도로를 따라 걸어가니 선덕여왕릉으로 올 때 보았던  '독서당'이 나와서 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기에 그곳으로 걸음을 옮겼다.

 

 독서당(讀書堂)은 배반동 낭산(狼山) 서쪽 기슭에 있는 서당으로, 신라 말기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학문을 닦던 곳이라고 전하나 이후 여러 차례 보수가 이루어져 본래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1850(철종 1) 건립된 최치원유허비가 건물 왼쪽 비각 안에 놓여 있으며 담장 밖에 최치원이 심었다고 전하는 향나무가 있다. 그러나 문을 굳게 잠가 놓아서 밖에서 구경만하고 돌아섰다.

 

독서당의 여러 모습

 

 독서당을 내려와서 오랜만에 분황사로 간다. 지금은 황룡사 발굴터로 더 유명한 곳 바로 옆에 분황사가 있다.

 

멀리 보이는 황룡사 역사문화관

 

분황사 당간지주

 

 이 분황사 당간지주는 지금 황룡사 발굴 구역에 있다. 왜 분황사 당간지주가 분황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지가 의문이다. 분황사가 매우 큰 절이라 당간지주가 있는 이곳까지 분황사 터엿는지도 모를 일이다.

 

황룡사역사문화관

 

 황룡사 발굴타 바로 옆에 분황사가 있다. 내 기억에는 과거베 본 분황사의 '모전석탑'이 생생하다.

 

  분황사(芬皇寺)는 삼국시대 634(선덕여왕 3)에 창건한 사찰로 왕분사(王芬寺)라고도 한다. ‘분황(芬皇)’향기날 분’, ‘황제 황자로 향기나는 황제절이란 뜻으로, 신라 최초로 여왕이 왕위에 올라선 것을 알리는 상징적인 절이다. 분황사 석탑에서 나온 사리장엄구에도 가위 등 여자와 관련된 유물이 있었다. 창건 당시 가람은 석탑을 남쪽 중앙에 배치하고 그 북쪽에 남향의 삼금당을 ()’자형으로 배치한 소위 일탑삼금당식가람배치였다. 1~3차 중건으로 가람은 1동의 대형 금당을 배치한 일탑일금당식으로 바뀌었다.

신라를 지키는 호국룡이 살고 있는 신성한 절로 여겨졌고, 이 절의 석탑은 신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된 석탑이며, 솔거가 그린 분황사의 관음보살이 유명하다.

 국보 제30호로 지정된 모전석탑(模磚石塔)을 비롯하여, 화쟁국사비 비석대(和諍國師碑 碑石臺석정(石井석조(石槽초석(礎石석등·대석(臺石)과 사경(寺境) 이외에 당간지주(幢竿支柱)가 남아 있어 보존되고 있다.

 

분황사 입구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분황사 모전석탑(芬皇寺模塼石塔)은 높이 9.3m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모전석탑으로, 분황사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고 생각되나 뒤에 몇 차례 보수되어 어느 정도까지 원형이 남아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기단(基壇)은 한 변 약 13m, 높이 약 1.06m의 막돌로 쌓은 토축(土築) 단층기단인데, 밑에는 상당히 큰 돌을 사용하였고 탑신(塔身) 밑이 약 36높아져 경사를 이루었다. 기단 위에는 서면 남북 모서리에 수사자상 각 한 마리씩과 동면 남북 모서리에 암사자상 각 한 마리씩이 지키고 있으나 원래 두 마리가 더 있어 총 여섯 마리의 사자가 있었다. 나머지 두 마리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정원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현재 탑신부는 3층까지 남아 있으며 회흑색의 안산암(安山岩)을 작은 벽돌모양으로 잘라서 쌓았는데 위의 폭이 아래폭보다 약간 좁다. 탑신 4면에는 입구가 뚫려져 있는 감실(龕室)을 개설하고, 입구 좌우에 거의 원각(圓刻)에 가까운 인왕상(仁王像)을 배치하였으며 두 짝의 돌문을 달아 여닫게 하였다.

 <동경잡기(東京雜記)>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왜병에 의하여 허물어지고 그 뒤 분황사의 중이 개축하려다가 또 허물어뜨렸다고 하나 그 실상은 알 수 없다. 1915년에는 일본인들이 해체수리하였는데 현재의 상태는 이 때의 현상대로 복원한 것이다.

 지금 분황사 경내에는 이 탑을 수리할 때 남은 석재가 따로 보관되어 있어 지금의 모습이 창건 당시의 형태가 아님을 알 수 있으며, <동경잡기>에는 분황사9층탑(芬皇寺九層塔)’이라고 되어 있으나 그대로 믿을 근거가 못 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전석탑의 사면

 

분황사의 여러 모습

 

 분황사 뜰에는 석정이 있다. 분황사 석정(芬皇寺 石井)198585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석정은 바위 틈 사이로 솟거나 흐르는 물을 고이게 바위를 옴폭하게 파고, 그 위에 다시 시설(施設)을 해 만든 우물이다. 분황사의 석정은 신라시대의 유물로, 벽체(壁體)를 둥글게 쌓아올리고 외부는 8각으로 다듬었다. 이런 형태는 불교의 팔정도(八正道)와 원융(圓融)의 의미를 지닌다.

 호국룡(護國龍) 변어정(變魚井)이라고 불리는 이 우물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분황사의 이 우물과 서라벌 동북쪽 금학산(琴鶴山) 기슭의 동천사(東泉寺)에 있는 동지(東池)와 청지(靑池)라는 두 우물에는 신라를 지키는 호국룡이 살고 있었다. 원성왕(元聖王) 때 신라에 온 당나라 사신이 이 용들을 3마리의 물고기로 변신시킨 뒤 잡아가지고 길을 떠났다. 하루 뒤 두 여인이 원성왕 앞에 나타나 이런 사실을 알리고 그들을 찾아 줄 것을 호소하였다. 왕이 사람을 시켜 당나라 사신을 쫓아가 그가 가지고 가던 물고기를 되찾아서 각각의 우물에 놓아주고 다시 살게 하였다고 한다.

 

석정

 

화쟁국사 비부

 

분황사 표석

 

 분황사를 나와 실제의 모습을 전혀 볼 수 없지만 지금 한참 복원이 논의 중이고 옛 발굴터에 여러 유물을 모아 놓은 황룡사역사문화관으로 발을 옮겼다.

 

 황룡사(皇龍寺)는 월성(月城)의 동쪽 용궁의 남쪽에 있었던 절로 칠처가람지(七處伽藍址, 과거 7불이 주석했다는 경주 일원의 일곱 사찰의 유적지)의 하나로서 규모나 사격(寺格)에서 신라 제일의 사찰이며, 신라의 사상과 예술에서도 그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553(진흥왕 14)에 새로운 대궐을 본궁 남쪽에 짓다가 거기에서 황룡이 나타났으므로 이를 불사(佛寺)로 고쳐 황룡사라 하고 17년 만인 569년에 완성하였다. 불국사와 함께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이며, 백제의 미륵사, 고구려의 정릉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호국 사찰이었다.

 

삼국유사에서 설명한 칠처가람지는

금교(金橋) 동쪽 천경림(天鏡林) - 흥륜사(興輪寺)

삼천기(三川歧) - 영흥사(永興寺)

용궁(龍宮) 남쪽 - 황룡사(皇龍寺)

용궁 북쪽 - 분황사(芬皇寺)

사천미(沙川尾) - 영묘사(靈妙寺)

신유림(神遊林) - 사천왕사(四天王寺)

서청전(婿請田) - 담엄사(曇嚴寺)로 알려져 있다.

 

 신라인들은 과거불인 가섭불(迦葉佛)의 연좌석(宴坐石)이 있는 이 절을 가섭불시대부터 있었던 가람터로 보았는데, 이는 신라인이 염원하는 불국토(佛國土)가 먼 곳이 아닌 신라 땅이라는 자각과 관련된 것이다.

신라삼보(新羅三寶) 중에서 이보(二寶)인 장륙존불(丈六尊佛)과 구층탑이 이 절에 있었고, 화성(畵聖) 솔거(率居)의 금당벽화가 이곳에 있었다.

 

황룡사 발굴터

 

 황룡사역사문화관에는 옛날의 황룡사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많은 노력을 한 흔적이 보인다. 그 중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목조구층탑이다. 이 절의 중심인 구층목탑은. 당나라로 유학갔던 자장이 태화지(太和池) 옆을 지날 때 신인(神人)이 나와서, “황룡사 호국룡은 나의 장자로 범왕(梵王)의 명을 받아 그 절을 보호하고 있으니, 본국에 돌아가서 그 절에 9층탑을 이룩하면 이웃나라가 항복하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하며 왕업이 길이 태평할 것이요, 탑을 세운 뒤에 팔관회(八關會)를 베풀고 죄인을 구하면 외적이 해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자장은 643(선덕여왕 12)에 귀국하여 탑을 세울 것을 왕에게 청하였다. 자장은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 100()을 탑 속에 봉안하였다.

 이 탑의 각 층은 아래에서부터 일본, 중화(中華), 오월(吳越), 탁라(托羅), 응유(鷹遊), 말갈, 단국(丹國), 여적(女狄), 예맥(濊貊)의 아홉 나라를 상징하는데, 이는 이들 나라로의 침략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었다고 한다. 이 탑은 1238(고종 25)에 몽고군의 병화(兵火)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참화를 겪은 뒤 중수되지 못하였다.

 

복원을 고대하는 목조구층탑의 모형

 

황룡사에서 발굴된 거대한 치미

 

황룡사역사문화관 내부

 

 이 밖에도 이 절에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보다도 4배나 더 크고 17년 앞서서 주조된 종이 있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하지만, 이 종도 몽고군의 병화 때 없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절터는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황룡사 복원은 초반 단계인 고증 연구와 발굴 탐색, AR복원에 머물러있다. 현재 중문과 남측 회랑을 AR로 복원하였으며 20년대 중반까지 금당과 내부 불상, 9층목탑의 AR복원 계획을 명시했다. 하지만 경주시와 정부는 여전히 황룡사의 실물 복원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AR복원으로 잠정 확정된 복원 안들에 대해 국민들의 사회적 공감대를 얻으면 실물 복원을 추진하는 것으로 초장기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꼭 복원을 하여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복원을 한다고 처음 그대로 만들 수는 전혀 없으니 폐허는 폐허대로 두는 것도 역사의 한 면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황룡사터

 

 황룡사역사문화관을 둘러 보는 것으로 오늘의 경주 탐방을 끝내고 집으로 향한다. 올해의 겨울 날씨가 비교적 한파가 많아 날씨를 보아가면서 경주 나들이를 계속할 것이나 다음의 일정이 언제일는지가 의문이다. 이제 젊은 나이도 아니고 해서 기상상태를 보고 다시 올 것이다.

 

 다음은 남산 일대를 돌아볼 계획이다.

 

경주3 - 계림과 교촌마을 오릉 일대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오늘은 대릉원 주변에서 저번에 가지 못한 반대방향을 돌아보기로 하고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대릉원 경내를 지나 먼저 간 곳이 숭혜전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는 않지만 신라왕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경주의 유적지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대부분 민가에 가까이 있듯이 이 숭혜전 주변도 민가가 많이 들어서 있다.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시대 사묘재실인 숭혜전(崇惠殿)1992718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숭혜전에는 신라 최초의 김씨 임금인 13대 미추왕(味鄒王)과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룩한 30대 문무대왕(文武大王), 그리고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원래는 신라 마지막 임금 경순왕(敬順王)의 덕을 기리기 위해 경주시 인왕동의 경주 월성에 지은 사당으로 경순왕의 영정을 모시고 제향해 왔다.

 

 조선시대 1592(선조 25)에 임진왜란으로 사당이 소실되었고 그 뒤부터 위패를 모시고 제향했다. 1627(인조 5) 당시 관찰사 김시양(金時讓)이 동천촌에 사당인 동천묘를 다시 짓고 경순왕의 위패만 모셨다. 1723(경종 3) 조태억의 간청으로 경순왕전으로 고쳐 부르다가 1794(정조 18)에 당시의 도백 조진택이 나라의 허락을 받고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짓고 이름을 황남전으로 바꾸어 불렀다. 1887(고종 24)에는 김만제(金滿濟)의 간청으로 미추왕(味鄒王)의 위패도 이곳에 모시게 되었으며 이듬해 판부사 김홍집(金弘集)의 간청으로 문무대왕의 위패도 함께 모시게 되었다.

그뒤 고종이 경주부윤 김철희(金喆熙)에게 명하여 사당을 증축하게 하고 숭혜전으로 선액(宣額)하였다.

 

 앞면 5, 옆면 3칸인 맞배집으로 왼쪽에 영육재(永育齋), 오른쪽에 경모재(敬募齎)가 있다. 앞에는 경순왕 신도비와 비각이 있고, 길 건너에 계림세묘(雞林世廟)가 있다.

 

숭혜전의 여러 모습

 

 숭혜전을 나와 계림쪽으로 걸어가면 오른쪽으로 동부사적지대가 보인다.내물왕릉을 비롯하여 여러 왕릉이 있고 아직 발굴을 진행하고 있는 듯하다.

 

 경주 동부사적지대(慶州 東部史蹟地帶)는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의 여러 사적이 모여있는 곳을 보존하기 위해 하나의 단위로 1968년 사적으로 지정된 구역이며, 지정면적은 669293이다. 유적으로 동서는 동궁과 월지부터 교동까지, 남북은 월성 남쪽의 남천에서 고분공원 앞 첨성로가 있는 곳까지의 지역이다.

 

 이곳에는 동궁과 월지, 경주 월성, 첨성대, 계림, 내물왕릉 등 외에도 수십기에 달하는 신라 무덤이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경주시 전역에 흩어져 있는 신라시대의 역사 유적들은 그 성격에 따라 5개 지구로 나뉘는데, 이들 5개 지구는 모두를 통틀어 경주역사문화지구로 일컬어지며,그 런데 경주 월성(사적, 1963년 지정), 첨성대(국보, 1962년 지정), 계림(사적, 1963년 지정), 내물왕릉(사적, 1969년 지정) 등과 함께 1968년 사적으로 지정된 경주 동부 사적지대도 경주역사문화지구에 포함되면서 2000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유네스코 경주역사문화우산 표석

동부사적지대의 여러 고분들

 

 동부사적지대의 옆으로 난 길을 걸어가니 왼쪽으로 첨성대가 보이고 앞으로는 월성이 보인다. 월성으로 가지 않고 오른쪽으로 발을 옮기니 계림이 나타난다.

 

 경주 계림(慶州 鷄林)의 어원에는 두 가지 이설이 있는데, 원래 이름은 시림(始林)이었지만 김알지가 태어난 이후 계림으로 바꿨다고 한다.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났다고 알려진 장소의 이름이었지만, 후에 신라 전체를 뜻하는 이름이 되었다는 설이 일설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서기 65년 봄 3월에 김알지를 발견하며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고 한다. 이때 왕이 금성 서쪽 시림 숲 사이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리고 온통 환한 빛으로 가득하여, 날이 밝은 후 신하를 보내어 살피도록 하였다. 신하가 시림에 이르러 보니 금으로 된 조그만 궤짝이 나뭇가지에 걸려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 울고 있어 돌아와 고하니, 왕이 즉시 시림으로 가서 궤짝을 열어 보았다. 그 속에는 총명하게 생긴 사내아이가 있었고, 왕은 하늘에서 보낸 아이라 하여 태자로 삼았다. 또한 시림의 이름을 계림으로 바꾸었으며 국호로 삼았다고 전한다. 반면 삼국유사에서는 서기608월에 호공이 직접 시림을 걷다가 신령한 기운이 내려와 발견하는 것으로 달리 전한다. 또한 여기서는 계림의 어원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같은 책 혁거세조에서는 처음 왕이 난 곳이 계정(鷄井)이므로 국호를 계림이라 하였다고 전하여 차이가 있다.

 혹은 높은 땅을 가리키는 '''서벌(서라벌=경주)'이 합쳐지면 '달스벌/달스불'이 되고, 당시 닭()을 닥, 달 등으로 발음했기 때문에 '달스벌/달스불'을 각자 음차 및 훈차하는 방식으로 닭+수풀, 즉 계림(鷄林)으로 표기하였다는 설이 있다.

 같은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 신라의 국호를 계림으로 인식했던 기록도 전해진다. 구당서에서는 당고종이 신라에 계림도독부를 세웠다고 전하며, 김대문 역시 자신의 책 이름을 계림잡전으로 지었다. 고려의 이야기를 중국에서 적은 책의 제목도 계림유사로 지어졌다. 일본서기에서도 신라의 국호를 계림으로 적은 부분이 있다.

 

 다만 현재 알려진 계림은 사실은 경주 향교의 홍수 방지용 숲이고 실제 계림은 다른 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1963년 사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7,273m2으로 신라의 건국초부터 있던 숲으로 알려져 있고 느티나무와 물푸레나무, 회화나무, 싸리나무 등의 교목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계림에서 보는 월성

 

계림 설명판

 

계림의 여러 모습

 

 계림을 벗어나 조금 가면 경주향교가 나타난다.

 

 경주시 교동에 있는 경주향교(慶州鄕校)1985101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북향교재단이 소유하고 있으나 언제 창건되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큰 향교로, 향교의 위치는 계림(鷄林) 서쪽, 문천(文川) 북쪽에 해당하는데, 신라의 국가 최고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이 있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효(元曉)가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과부 공주를 만난 요석궁(瑤石宮)에 대해 지금의 학원이 이곳이다.’(今學院是也)라는 주석을 남기고 있다. 신라 멸망 뒤에 서라벌이 경주로 개칭되면서 고려시대에는 향학(鄕學), 조선시대에는 향교로 이어져온 유서 깊은 곳으로 나주향교(羅州鄕校)와 함께 향교 건물 배치의 표본이 된다.

 

 2011127일 경주향교 대성전이 대한민국 보물 제1727호로 지정되었다. 향교 안에는 선조 34(1601) 당시 제독관 손기양(孫起陽)이 흩어져 있던 각종 학규(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경주향교학령>(慶州鄕校學令)이 남아 전하고 있는데, 일종의 교내 학칙으로써 이는 조선 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이다.

 

경주향교 표석

 

향교가 있는 교촌마을 표지

 

경주향교 안내판

 

 향교 정문은 열어 놓지 않고 동쪽문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동쪽문으로 들어가니 먼저 반기는 것이 우물이다. '총명수'라고 이름이 붙어 있는 우물로 지금도 사용하고 있지는 않는 것 같아 보였다. 우물울 지나 향교의 여러 곳을 돌아보니 대단히 규모가 큰 것 같아 보였다.

 

경주향교의 여러 모습

 

 향교를 나와 앞에 흐르는 남천을 보니 예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월정교가 보인다.

 

 월정교란 이름은 <삼국사기>에 통일신라 경덕왕 19궁궐 남쪽 문천에 월정교, 춘양교 두 다리를 놓았다.’는 기록을 통해 알려졌다.

 조선시대에 유실되어 없어진 것을 10여 년간의 조사 및 고증과 복원을 진행해 20184월 모든 복원을 완료했다. 2013년 교량복원을 먼저 마치고, 이후 다리 양쪽의 문루(門樓)를 마저 지었다. 문루 2층에는 교량의 복원과정을 담은 영상물과 출토 유물을 볼 수 있는 전시관이 있다.

낮에는 월정교의 자태를 오롯이 볼 수 있어 좋고, 밤의 월정교는 또 다른 매력으로 우리를 유혹한다고 한다.

 

월정교를 앞에 두고 한옥으로 마을을 이루고 있는 교촌마을의 아름다운 풍경이 보인다. '교촌마을'은 향교가 있는 마을을 뜻한다. 즉 교촌마을이 경주에 있는 교촌마을을 뜻하는 것만은 아니다. 경주 교촌마을은 신라 신문왕2(682)에 설립된 신라 최초의 국립대학인 국학이 있던 곳으로 교육기관인 국학의 변화는 고려시대에는 향학, 조선시대에는 향교로 이어졌다.

 교촌마을 주변에는 삼국유사 속 이야기보따리가 곳곳에 숨겨져 있다. 김알지가 태어난 계림, 원효스님과 요석공주의 사랑을 이어준 문천교(蚊川橋), 김 유신이 살던 재매정, 월정교와 충담스님, 도화녀를 사랑한 진지왕, 선덕여왕이 만든 첨성대 등 수 많은 이야기 현장이 교촌과 남천을 따라 흩어져 있다.

 

 교촌마을은 새롭게 복원 조성되어 문화유적의 원형을 잘 보존하면서도 보고 즐기는 관광지가 될 수 있도록 힘을 쓰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목조 교량인 월정교가 새롭게 복원되어 목조건축의 웅장함을 느낄 수 있고, 야간에는 화려한 조명으로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해 관광객들이 꼭 찾는 야경코스가 되었다.

 

 교촌마을에는 국가민속문화재 경주 최부자댁, 중요무형문화재 경주교동법주가 있다.

 

교촌마을

 

월정교

 

교동법주

 

교동법주양조장

 

 음식점으로 모양을 바꾼 '요석궁'과 교동법주 양조장 등을 포함한 이 구역이 유명한 경주 최부자집이다.

 

 경주 최부자집은 조선조 최진립의 가문인 경주 최씨가 17세기 초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약 300년 간 부를 이어온 것을 의미한다. 12대로 대대손손 가훈을 지켜가며 부를 쌓았고, 나그네나 거지들 에게 돈을 나누어 주고 밥을 먹여주는 좋은 선행을 했다. 이렇듯 후손을 엄격하게 교훈하며 탐욕을 줄여갔던 최부잣집은 조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예로 여겨지며, 세간의 존경을 받았다.

12대 최준은 일제강점기에도 독립자금 마련을 위해 백산무역주식회사를 세워 안희제와 운영하며 임시정부 재정부장을 맡아 독립운동 자금줄 역할을 했으며 그 증거 문서들이 2018년 고택 광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해방 후엔 전 재산을 모두 털어 대구대학(현재의 영남대학교)과 계림학숙을 세웠다.

 

 최부자집이 후손들에게 항상 지킬 것을 마음에 새기게 한 육훈은 다음과 같다.

  1.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의 벼슬은 하지 말라

  2. 1년에 1만 섬 이상 재산을 모으지 말라

  3.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사지 말라

  4. 집에 온 손님은 융숭하게 대접하라

  5.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6. 가문에 시집 온 며느리들은 3년 동안 무명옷을 입도록 하라

 

최부자집의 여러 모습

 

교촌교에서 보는 남천과 월정교

 

 교촌마을을 나와 오릉쪽으로 발을 옮기면 바로 사마소가 나온다.

 

 경주사마소(慶州司馬所)는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한 그 지방의 생원과 진사들이 이곳에서 유학(儒學)을 가르치거나 정치(政治)를 토론하던 건물로 지위가 높은 사람도 자기 수양을 위해 이곳을 찾아왔다고 한다.

 처음 세워진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선조 25(1592)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뒤 영조 17(1741)에 다시 지어 풍영정(風詠亭)이라 불렀다. 이 건물은 원래 이곳으로부터 동쪽으로 300m 거리에 있는 신라시대 월정교(月精橋)터의 북쪽 교대(橋臺) 위에 세워져 있던 것을 1984년 이곳으로 옮겨왔다. 건물 안에는 건물을 고친 내용이 담긴 현판들이 걸려 있어 그 내력을 알려주고 있다.

건물은 앞면 4,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사마소(司馬所)’라는 현판은 영조 38(1762) 당시 부윤벼슬을 지내던 홍양한이 쓴 것이다.

 

사마소의 여러 모습

 

사마소 바로 옆에 황량한 벌판에 '재매정'이 있다.

 

 재매정(財買井)은 신라의 김유신 장군 집에 있던 우물로 화강암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만들었는데, 이 일대가 장군의 집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김유신 장군이 오랜 기간을 전쟁터에서 보내고 돌아오다가 다시 전쟁터로 떠날 때, 자신의 집 앞을 지나면서 가족들을 보지도 않고 우물물을 떠오게 하여 말위에서 마시고는, “우리집 물맛은 옛날 그대로구나하고 떠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재매정을 중심으로 사방 70m 지역을 발굴하였다. 우물의 깊이는 5.7m이며, 가장 넓은 부분은 1.8m이고, 바닥의 지름이 1.2m로 벽돌같이 다듬은 돌로 만들었다. 우물 옆에 비각이 있고 비각안에 조선 고종 9(1872)에 이만운이 쓴 비석이 있다.

 1976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5,481로 현재 위치는 경주 흥륜사(興輪寺)터와 월성(月城)터의 중간에 있다.

 

 

재매정의 여러 모습

 

문천교에서 보는 남천

 

 문천교를 지나 큰 길을 따라 제법 가면  '오릉'이 나타난다.

 

 경주 오릉(慶州 五陵)은 탑동에 있는 능묘(陵墓)4기의 봉토무덤과 1기의 원형무덤이다. 19698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봉분의 높이는 10m 내외이고, 지름은 20m 내외이다.

 

 신라 초기의 왕릉으로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와 알영부인(閼英夫人), 2대 남해왕(南解王), 3대 유리왕(儒理王), 5대 파사왕(婆娑王) 5명의 분묘라 전해진다. 네 왕들의 공통점은 모두 박씨라는 것으로, 가운데 하나를 두고 나머지 네 무덤이 한쪽 면에 자리하였다. 일명 사릉(蛇陵)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명칭은 박혁거세가 승하 후 7일 만에 그 유체(遺體)가 다섯 개로 되어 땅에 떨어졌으므로 이를 합장하려 하자 큰 뱀이 나와 방해하므로 그대로 다섯 군데에다 매장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에서 연유되었다. 능 입구의 홍살문을 세운 기둥은 원래 당간지주(幢竿支柱)로 이곳에 담엄사(曇嚴寺)가 있었다는 설과 일치한다.

 

 오릉 경내에 알영부인이 계룡에 의해 탄생한 전설상의 장소인 알영정 우물과, 혁거세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 숭덕전, 조선시대에 세운 왕릉비가 있으며, 능원 서남쪽 소나무숲에는 숭덕전 남쪽에 있던 담암사지에서 출토된 석재를 옮겨 놓았다. 멀지 않은 거리에 박혁거세 탄생설화의 배경인 나정이 있다.

 

오릉 주위로 숲이 울창하게 조성되었는데, 별로 넓지도 않은데도 능역에 고라니가 살아 가끔 관람하다 마주친다고 한다. 오릉 경내에는 곳곳에 여러 야생 동물에 대한 주의가 붙어 있다.

 

오릉의 여러 모습

 

 오릉을 한 장면으로 사진을 찍으려면 여러 구도를 맞추어 보아야 한다. 그래서 여러 곳을 배회하다가 한 컷에 들어오는 제법 먼 곳에서 사진을 찍었다.

 

 오릉을 보고 알영정으로 갔다. 알영정(閼英井)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비() 알영부인이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우물로 경주오릉 내 숭덕전 대나무 숲 속에 위치하고 있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알영정에 관한 기록이 전하는데, 이와 같은 정천신앙에 따른 탄생설화는 동북아시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 알영정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동경잡기>에 따르면, 경주부의 남쪽 5리에 있었다고 한다.

 

알영정의 모습

 

 알영정에서 바로 이어진 있는 숭덕전(崇德殿)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왕(朴赫居世王)의 제향을 받드는 제전(祭殿)으로 오릉(五陵)의 남쪽에 있다. 조선 세종 11(1429)에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선조 33(1600)에 다시 지었고 숙종 20(1694)에 수리하였다. 지금 경내에는 조선 영조 35(1759)에 세운 박혁거세와 숭덕전의 내력을 적은 신도비가 있다.

 

숭덕전의 모습

 

 오릉을 끝으로 오늘의 계획한 여정을 마쳤다. 오릉을 나와 버스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조금 기다려서 타고 시외버스정류장으로 가서 집으로 향했다. 예정한 시간에 맞추어 오늘도 하루를 재미있게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