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鶴)의 오딧세이(Odyssey)

남파랑길 41 코스(천하몽돌해변입구 - 두모마을 - 남해바래길 안내센터)

鶴이 날아 갔던 곳들/발따라 길따라

 남파랑길 41 코스는 천하몽돌해변 입구에서 시작하여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상주은모래비치를 지나고 두모체험마을을 지나면 서포 김만중의 유배지로 알려진 노도를 눈앞에 둔 벽련마을이 나온다. 벽련항에서 남해대로를 따라 앵강만을 끼고 돌아 나가면 원천항이 나오고 계속 앵강다숲길을 따라 걸으면 남해바래길 안내소에 도착하여 끝이 나는 15.4km의 길이다.

 

남파랑길 41 코스 지도

 

남해바래길 안내판(남파랑길과 같은 코스지만 남파랑길 41 코스  안내판이 없다)

 

천하몽돌해수욕장 풍경

 

 천하몽돌해변에서 상주은모래비치까지 오늘의 여정을 계획하고 걸음을 옮기며 남해의 해안 풍경을 즐긴다.

 

멀리서 보는 천하몽돌해수욕장

 

상주은모래비치로 가는 길의 풍경

 

길가에 핀 치자꽃

 

 길을 가면서 향기가 나서 옆을 보니 고운 치자꽃이 피어 있다. 아. 이제 여름이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꽃이다. 치자꽃 향기를 맡으며 길을 계속 가서 언덕을 돌아가니 멀리서 고운 모래가 펼쳐진 것이 보인다. 상주은모래비치라 일컫는 상주해수욕장이다. 좋은 해수욕장이란 모래와 숲과 맑은 바다를 가져야 하는데 상주은모래비치는 은빛 고운 모래로 이루어진 넓은 백사장과 울창하고 아름다운 숲과 더불어 청정 바다로 이루어진 전국에서 몇 안 되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간직한 해수욕장이다. 뒤로는 금산이 병풍처럼 감싸고 있고 앞에는 조그마한 섬들이 바다에 떠 있어 파도를 막아 준다. 해수욕장이라기보다 호수라고 착각하게 할 만큼 수면은 언제나 잔잔하고 젊은 처자의 곱게 웃는 미소처럼 조용하다.

 상주은모래비치는 자타가 공인하는 전국 최고의 아름다운 해수욕장이지만 이제는 겨울에는 전지훈련을 오는 운동선수들로 백사장이 붐비고 있으며 봄, 가을에도 수련활동을 갖는 대학생들과 연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4계절 관광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상주은모래비치 해수욕장

 

해수욕장 옆의 다리

 

 여기에 도착하니 아직은 해가 하늘에 떠 있으나 원래 오늘 예정이 여기까지였기에 이르지만 휴식을 하고 숙박을 하기로 하였다. 아직 본격적인 피서철이 되지 않아 숙박소는 거의 대부분이 비어 있었다, 그래서 아주 헐한 가격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곳에 숙소를 정할수 있어 만족스러웠다. 이르지만 저녁을 먹고 쉬다가 창문을 열고 보니 바다물이 들어와 다리 밑을 가득 채우고 불을 밝혀 뜻밖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겼다.

 

만조의 풍경

 

 다음 날 아침 일찍 일어나 걷기를 시작했다. 작년 해파랑길을 걸으면서도 항상 일찍부터 걷고 저녁에는 빨리 일정을 마치는 것으로 여행을 하였으므로 오늘도 일찍 나왔다. 그래도 하지가 가까워지니 벌써 해가 떠 있었다. 밤에 보던 풍경과 아침에 보는 풍경이 다르게 보인다. 밤에는 만조가 되어 물이 차 있었는데 아침에는 물이 다 빠져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아침 해변 풍경

 

길가의 호박꽃

 

 

 대량마을을 지나 해안으로 내려가면 그림같은 해변이 나온다. 두모체험마을이다.

 

 두모마을은 자연생태우수마을 및 자연생태복원우수마을로 지정되어 친환경 농법으로 제초제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농사를 짓고 있으며, 마을 앞 푸른 바다에서는 여러 해조류와 제철 고기를 잡아볼 수 있는 곳으로, 때 묻지 않은 고향 시골의 인심과 다양한 체험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를 가슴에 담아 갈 수 있는 마을이다.

옛날 도사(道士)가 길을 지나다가 두모(豆毛)라고 부르면 부귀할 것이라 하였다 하여 두모라고 불렸으며, 산의 자태가 수려하고 마을의 형태가 콩의 생태모양으로 생겼다하여 두모라 부른다고 한다. 마을의 구성은 특색이 있어 4계촌() 마을로 마을회관이 중심이 되어 동쪽은 박촌(朴村), 서쪽은 손촌(孫村), 음지편 송림 동쪽은 김촌(金村), 남쪽은 정촌(鄭村)으로 씨족간 집단마을로 형성되어 반농반어민이 대대로 순박하고 소박하게 살고 있는 마을이다.

 

두모마을의 해변

 

 두모마을에 도착하니 시장기가 돌아 미리 준비해서 가져간 아침을 먹으며 휴식을 취했다. 아침을 먹으며 보는 두모의 앞바다(앵강만)은 너무 그림 같았다. 참 조용하고 아름다운 살고 싶은 생각이 드는 마을이었다. 쉬다가 다시 길을 재촉하니 산에서 내려오는 개울물이 바다와 합쳐지는 곳에 다리가 놓여 있으며 여기서부터 구운몽길이라는 안내 표지가 있다.

 

구운몽길 표시

 

 

 해안으로는 갈 수 없는 곳이 많아 해안가의 언덕을 넘어가는 일이 제법 번거롭다. 평탄한 실이 아니라 거의 산길과 같은 곳을 하루에 몇 곳을 지나니 몸도 제법 피로하였다. 산길을 넘어 가니 벽련마을이 나온다. 서포 김만중이 귀양 와 있었던 노도가 눈에 보인다.

 벽련마을은 전형적인 농어촌으로 마을 앞은 바다로서 서포 김만중 선생의 유배지인 노도와 앵강만을 안고 있고 뒷산은 금산 서북 능선의 끝자락이다. 마을 형상이 연꽃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연화(蓮花)라고 불렀고 또한 마을 앞 노도가 마치 연꽃처럼 물위에 떠있는 모양이라서 연화라고 불렀다.

 

 노도(櫓島)는 상주면 양아리 앵강만에 있는 유인도로 벽련마을에서 훤히 보이는 서포 김만중의 유배지이다. 예전에 배[]에서 쓰는 노()를 많이 만들던 곳으로 노도(櫓島)라 하였다는 설이 전해오고, 또는 섬의 생김새가 삿갓을 닮았다 하여 삿갓섬이라고도 불리는 노도(櫓島)의 한적한 경치와 어울려 석양이 질 때가 되면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특히 유채와 메밀꽃이 피고 질 때가 되면 그 아름다움이 더욱 빛을 낸다고 하는데 나는 두 가지 모두 시간을 맞추지 못했다.

선착장에 배를 대면 서포 김만중의 넋을 기리는 비가 서있다. 섬에는 김만중이 직접 팠다고 전해지는 우물과 시신을 잠시 묻었던 허묘(墟墓), 초옥이 있던 터가 남아 있으며, 서포김만중선생유허비와 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서포는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사씨남정기를 썼다

 

 지금부터 약 20년 전에 부산의 부경대학교에서 남해문학탐방을 한 일이 있다. 부경대학교 실습선에 탑승해서 남해안의 여러 문학지를 돌아보는 프로그램이었는데 여기에 초청을 받아 이 노도를 방문한 일이 있다. 그 때 산을 올라가서 서포의 유적지를 보았을 때는 거의 폐허였는데 이제는 남해군이 관광지의 모티브로 잘 가꾸어 놓았다고 한다.

 

벽련항에서 보는 노도

 

 내가 사진을 찍고 있으니 지나가던 마을 노인이 노도로 가는 배가 시간이 아직 되지 않았다고 친절하게 말을 걸어 왔다. 그래서 노도를 가지 않는다고 말하며 예전에 노도를 간 일이 있다고 하니 지금 노도는 그 때보다 주민이 줄어들어 약 25명 정도만 살고 있다고 하였다. 농어촌의 어느 곳이나 사람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다.

 

식당 이름이 서포밥상이다.

 

벽련마을과 노도

 

서포 김만중 유허지를 가리키는 표석

 

 

 벽련마을을 지나 남해대로를 따라 걸으면 속초항이 나오고 계속 길을 가면 원천항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나온다. 여기에 한려해상국립공원 표지와 남파랑길 42 코스 시작 표지가 있다. 하지만 남파랑길 42 코스는 이곳이 시작점이 아니다. 시작점이 바뀌었는데 아직 표지 안내판은 그대로다. 이런 곳이 여러 곳 있기에 코리아둘레길 담당자에게 전화를 하면 자기들도 알지만 아직 교체를 못했으니 모든 길을 GPS가 가리키는 길이 가장 정확한 안내라고 하니 참조하시기를 바란다.

 

원천항 입구의 남파랑길 42 코스 안내판

 

원천항으로 들어가면 앵강만이 돌아가는 길이다. 앞의 벽련마을도 앵강만을 접해 있지만 원천마을부터는 완전히 앵강만을 한 바퀴 도는 길이다.

 

원천마을 어판장의 경매 모습

 

 원천마을을 지나 앵강만을 끼고 걷는 길을 앵강다숲길이라 칭하고 있다. 이 길을 조금 걸어가면 41 코스의 종착점에 도착한다. 여기에는 남해바래길 안내센터가 있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남해바래길 안내센터

 

 남해바래길안내 센터에 들어가 무엇이 있는가를 살피니 담당직원이 친절하게 여러 가지 물음에 답을 해 주면 차를 한잔 마시고 가라고 권한다. 그래서 잠시 휴식도 할 겸해서 커피를 한잔 얻어 마시고 남해의 길에 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고 다음 코스의 길을 시작한다.